『논어, 학자들의 수다 : 사람을 읽다』 요약, 저자, 감상
1. 『논어, 학자들의 수다 : 사람을 읽다』 요약 이 책은 인(仁)이나 예(禮)와 같은 딱딱한 철학적 개념은 살짝 제쳐두고, 《논어》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읽어보고자 했다. 어쩌면 사람을 읽는다는 것은 그의 ‘삶’을 읽는다는 것과 같은 말일 테니까. 비록 기록이 되지 않아 그들의 삶을 자세하게 알 수는 없지만, 우리는 그 흔적을 통해 그들의 삶을 느낄 수도 있지 않을까?(6p) 공자(孔子 기원전 551∼기원전 479년, 이름은 구丘이고 자字는 중니仲尼)의 삶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포개어져 있다. 마찬가지로 이 책의 주인공들인 자로(子路), 안회(顔回), 자공(子貢), 염구(冉求), 증삼(曾參), 재아(宰我), 자하(子夏), 자장(子張), 민자건(閔子騫), 중궁(仲弓), 원헌(原憲), 유약..
2025. 4. 8.
『삼국유사를 걷는 즐거움』 요약, 저자, 감상
1. [삼국유사를 걷는 즐거움] 요약이 책 『삼국유사를 걷는 즐거움』을 읽는 내내 지은이 이재호 선생님의 안내를 받아 정말로 ‘삼국유사를 걸은’ 느낌이다. 선덕여왕, 진평왕, 법흥왕, 진덕여왕, 진흥왕, 문무왕, 효성왕, 헌강왕, 경덕왕, 원성왕, 진지왕 미추왕 등 왕들의 이야기에서는 왕으로서의 고뇌와 인간적 행적이 나온다. 불교의 국가답게 의상대사, 선율스님, 이차돈, 월명사, 정수스님, 원효대사, 표훈대사, 충담사, 자장스님, 양지스님 등 많은 스님들의 행적과 그들이 거쳐 간 사찰의 이야기가 나온다. 의상을 사모한 선묘 낭자, 효녀 지은, 계집종 육면, 얼어 죽는 아기와 여인, 만고의 충신 박제상과 돌이 된 그의 아내, 호랑이 처녀, 효자 손순, 수로부인, 신충, 불국사와 석불사를 지은 김대성, 광덕..
2025. 4. 8.